[지구촌톡톡] '우주선 관광'은 괜찮나…안전 규제 사각지대 우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타이태닉호 잠수정 폭발 사고를 계기로 우주관광에 대한 안전성 문제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아직 본격적인 우주관광 시대가 열리진 않았지만, 우주 기업들이 안전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한보선 아나운서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2021년 7월, 민간우주기업 버진 갤럭틱이 우주관광 산업 사상 첫 시범 비행에 성공했습니다.<br /><br />창업주인 리처든 브랜슨 버진그룹 회장 등 6명을 태우고 하늘로 날아올라 일명 우주의 가장자리로 불리는 고도 88.5㎞ 지점, 준궤도까지 도달했다가 지구로 귀환한 겁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모두에게 우주를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이곳에 왔습니다. 차세대 몽상가들을 현재와 미래의 우주 비행사로 만들고 싶습니다."<br /><br />성공적인 우주관광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것처럼 보였지만, 완벽한 성공은 아니었습니다.<br /><br />해당 비행선이 지구로 귀환할 때 1분 41초간 지정된 항로를 벗어난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다행히 무사히 착륙했지만, 작은 오차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었던 상황이었습니다.<br /><br />대서양에서 타이태닉호 관광용 잠수정이 내파한 비극적 사고를 계기로 우주 공간에서의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주 분야 전문가인 미셸 핸런 변호사는 관광용 우주선과 잠수정이 유사한 점이 많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캡슐에 탑승한다는 점, 밖을 내다볼 수 있는 창문이 선체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라는 점, 위험한 환경으로 진입한다는 점 등이 비슷하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민간인 관광객들을 우주로 실어나르는 우주관광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지만, 이들 업체가 사실상 안전 규제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현재 미 연방항공청은 우주로 비행하는 승객들과 관련해 그 어떤 안전 관련 조치도 원칙적으로 부과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이는 미 의회가 우주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올해 말까지 규제 유예기간을 두기로 결정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버진 갤럭틱의 준궤도 우주비행상품의 가격은 좌석당 45만 달러, 약 5억 8천만원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초고가 익스트림 관광상품의 수요가 늘어나는 만큼 가격에 걸맞은 안전장치는 필수로 전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보선입니다.<br /><br />#지구촌톡톡 #헤이월드 #심해관광 #우주관광 #잠수정 #익스트림관광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